보험꿀팁

<보험꿀팁 6-3> 실손의료비보험(3)

hogu5959 2025. 2. 11. 22:38
반응형

<보험호구가 알려주는 보험꿀팁 6-3> 실손의료비보험(3)

 

* 책 내용을 인용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 해당 글은 책 내용을 인용하여 작성된 자료로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작성자의 동의 없는 사용이 금지됩니다.

본 자료의 일부 혹은 전체 내용을 무단으로 복제/배포하거나 2차적 저작물로 재편집하는 경우, 민형사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4-1. 실손의료비보험

 

2)  실손보험 그래서 전환해야 하나요?

 

많은 분들이 실손보험을 전환해야 할지에 대한 고민이 많을 겁니다. 이 부분은 정답이 없고 개인의 상황에 맞춰 잘 선택해야 합니다.

우선 실손보험이 없는 분들은 4세대라도 가입하기를 권합니다.

 

건강한 분들이라면 만약을 대비해 다른 보험은 없더라도 실손보험은 가지고 있는 것이 좋고, 병원을 주기적으로 다니는 분들은 유병자 보험으로 보험료가 비교적 높더라도 웬만해선 보험으로 지급받는 금액보다 크지 않을 테니 가입 승인만 된다면 가입하는 게 좋습니다.

 

연세가 많으신 분들도 4세대 실손보험은 다른 실손보험에 비해 보험료가 낮으니 보험료가 얼마나 나오는지 보고 가입을 고민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럼 이제 본론으로 들어가 실손보험 세대별로 전환 시, 어떤 관점으로 선택해야 하는지 설명드리겠습니다. 한번 전환하면 되돌리는 게 불가능할 수 있으니 꼭 신중하게 선택하셔야 합니다.

 

 

     ① 1세대 실손보험, 2세대 실손보험(재계약이 없는)

 

해당되는 실손보험은 이 조건으로 80세 또는 100세 만기까지 동일한 조건으로 보험을 가져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갱신형 상품이기 때문에 은퇴 이후 시점인 만기까지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만약 만기까지 유지할 수 있다면 이 보험을 그대로 가져가도 됩니다. 다만 보장 한도를 꼭 확인해야 하는데, 예를 들어 한도가 3천만원 밖에 안 되면 나중에 한도 때문에 보장을 다 못 받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앞으로 의료비도 물가가 상승하는 것처럼 오를 텐데, 3천만원은 많이 부족할 겁니다. 그리고 1세대 실손보험은 통원 횟수가 연간 30회밖에 안 되는 점이 단점입니다. 

 

그럼 이제 효용 가치를 따져봐야 하는데, 현재 또는 가까운 미래에 장기간 또는 큰 금액의 치료를 받을 분들은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지 않은 사람 중 만기까지 실손보험을 유지할 수 있고 보장 한도가 충분한 분들은 유지해도 괜찮습니다.

 

만약 유지하기 어렵다고 예상되거나 건강한 분들은 4세대로 전환하고 발생되는 보험료 차액으로 다른 보장을 보강하거나 투자하는 게 좋습니다.

 

 

     ② 2세대 실손보험(재계약이 있는), 3세대 실손보험

 

재계약이 있는 2세대 실손보험은 남아 있는 기간과 그 기간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의료비를 예상해 봐야 하는데, 예상되는 의료비가 크지 않다면 4세대 실손보험으로 전환하고 그 차액으로 다른 보장을 보강하거나 투자하는 게 좋습니다.

 

3세대 실손보험은 차액이 거의 없으니 유지하다가 재계약 시점에 4세대 실손보험으로 재가입하면 됩니다. 만약 재계약 시점 전에 5세대 실손보험이 나온다면, 4세대 실손보험과 장단점을 비교한 후 4세대 실손보험이 절판되기 전에 전환할지, 아니면 3세대 실손보험을 유지하다가 5세대로 전환할지 선택하시면 됩니다.

 

 

 

3)  기타 참고 사항

 

      ① 암 치료 관련 실손보험 참고 사항

 

암 치료 관련해서 실손보험을 조금 더 설명드리면 암 치료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최근에는 입원 기간이 짧거나 통원으로만 치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통원 한도로 보상되는 경우, 회당 20~30만원으로 턱없이 부족합니다.

 

암 환자는 산정특례제도 혜택을 받을 수 있지만, 비급여로 적용되는 일부 항암제 치료나 방사선 치료에 대해선 혜택을 받지 못합니다. 비급여 항암 치료를 받게 되면 한 달에 치료비로 수백만원이 들기 때문에, 실손보험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② 실손보험 전환 시 주의사항

 

실손보험은 해지 후 새로 가입하지 말고 전환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환의 경우 직전 1년간 정신질환 치료 이력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별도 심사 없이 전환이 가능합니다. 만약 신규 가입한다면 심사를 거쳐야 하며, 실손보험만 가입이 어려워 다른 보험과 함께 가입해야 합니다. 다만 전환의 경우 보험사 변경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③ 실손보험 전환 철회

 

전환 후 6개월 이내 보험금 수령이 없는 경우에는 계약 전환을 철회하고 기존 상품으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다만 기존 상품으로 복귀 후 4세대 실손으로 재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 전환 심사를 거쳐야 전환할 수 있습니다.

 

만약 보험금 지급 사유가 발생했다면, 3개월 이내에는 전환이 가능합니다. 단, 이때는 보험금 청구를 하지 않아야 하며, 전환 후에 보험금을 청구해야 합니다. 이미 청구를 했다면 전환이 불가능합니다.

 



 

< 책 구매링크 >

1. 교보문고

https://ebook-product.kyobobook.co.kr/dig/epd/ebook/480D250263860?LINK=NVE

 

 

2. 밀리의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e71f83279ffc47ea?referrer=searchRecent